티스토리 뷰

오늘은 대표적은 건설업에서 상황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일용직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용직이라 함은 그냥 하루하루 일이 있을대 나가서 일하는것으로 따로 퇴직금이 있다라는 개념을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일용직이나 그리고 아르바이트 경우도 퇴직금을 받을수가 있습니다. 단 지급기준이 당연히 부합이 되어야 하겠죠?

그러면 이번 포스팅에서 확실히 일용직 퇴직금 받을수 있는 지급기준과 그리고 계산하는 계산법 공개해보겠습니다.

일용직 퇴직금 지급기준입니다.

일단 근무시간이 필요합니다. 4주간 일을 하는데 평균으로 보면 1주에 15시간이상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1개월 동안 60시간 이상의 근무시간이 충족하면 됩니다. 즉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이나 겨울 같은 곳을 제외하고는 왠만하면 무리없이 이 지급조건에 충족이 됩니다.

1년이상 근로를 해야합니다. 즉 인력시장이라는 한곳 부분에서 꾸준하게 1년이상 일을 해주어야 합니다. 즉 따로 계약을 맺고 하지 않았더라도 꾸준하게 한곳에서 1년 이상을 일한다면 모두 해당이 되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추가적인 핵심 팁을 드리겠습니다. 수습기간이나 인턴기간은 어떻게 되느냐? 그 일정도 다 포함이 됩니다. 일단 중간에 어떤 일이 생겨서 중간에 쉬는 시간이 생겼다고 없어지나요? 그건 아닙니다. 그 쉬는 기간의 일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실제로 계속 근로라고 인정이 되면 1년이란 기간을 채우게 되면 지급기준이 됩니다.

일용직 퇴직금 지급기한 부분입니다.

자신이 당장은 몰라서 퇴직금을 못 받을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급기한이라는 부분이 있고 이의 시효기간은 3년입니다. 이는 실업급여라는 것을 받을때도 같은데요. 여러분도 일단 3년내에 이 퇴직금 요구를 하시면 받을수가 있습니다. 단 3년 동안 내가 이 것을 지급하라고 요구하지 않은 경우네는 확실히 법적으로 없어지게 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퇴직금 지급기한은 일단 퇴사일로 부터 14일 내 지불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이런 퇴직금을 지급을 요구 했음에도 주지를 않는다면 이자 까지도 받을수가 있는데요. 일단 미지급한 경우는 3년 이하 징역 이나 아니면 2천만원 이하 벌금까지 처해질수가 있습니다.

일용직 퇴직금 계산법 어떻게 하나요?

계산법의 경우는 그리 어렵지가 않습니다. 일단 1일평균 임금*30일 * 총 계속 근로기간/ 365 계산식을 적용하게 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찾기가 어려운 분들은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해서 살표 보는것이 편리하기는 합니다. 오늘 함께 일용직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한번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