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

전치의 절단교합에서 대헤 알아보자

잠만보의 꿈 2019. 9. 5. 14:12

전치의 절단 교합 (Edge to edge articulation)

@정의 

교두감합위 (maximum intercruspation)에서  대합 되는 전치가  절단 연 (incisal edge)에서  만나는 교합관계 

@내용  

1. 전치의 절단 교합의 양상 및 특성

- 수직 피개 (over bite)와 수평 피해 (over jet)가 없게 된다 

  • - 하악의 전방운동시 전치 유도가 미미하거나 없다. 따라서 구치 이개(posterior disclusion)가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전방운동시 과로 유도와 조화를 이루어 구치의 접촉(상악의 원심 사면과 하악의 근심사 면)에 의해서 유도가 일어난다. 즉 균형교합이 이루 어진다.
  • -저작도(chewing cycle)의 형태는 넓고 수평적인 (wide & horizontal) 경로를 나타낸다

  • -절단 교합관계에서는 교합력이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향한다. 
  • -장기간 지속된 절단교합관계에서는 교합 스 트레스가 장축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치근막 섬유와 골소주가 측방 스트레스에 저항할 수 있도록 배 열 되어 있지 않다,

2. 골격성 절단 교합과 마모에 의한 절단 교합

골격성 절단 교합

골격성 절단 교합관계에서는 전방 유도가 없음으로써 하 악골이 전방 운동 시 구치부 치아의 이개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나 하악골 전돌 환자에서는 전방 운동을 할 이유가 없다. 하악골을 전방 운동하는 것은 사태만 악 화시킬뿐이다. 따라서 하악골 전돌의 환자는 오직 수직 적인 chop-chop 기능 운동만 할 뿐이고 구치의 전방 이개는 불필요하다.

구치부 이개의 통상적 요구가 아주 적다. 왜냐하면 그런 환자는 대부분 수직적 기능 양상(vertical functional pattern)을 갖기 때문이다. 전치부 접촉점을 지나서 전방 운동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측방 운동도 유 사하게 제한을 받는다.

마모에 의한 절단 교합

 심한 마모에 의한 전치의 절단 교합문제는 골격성 절단 교합관계와는 다르게 치료해야 한다.  만일 전치부 절단교 합 관계가 심한 마모의 결과라면 치료방법은 확실한 수평 기능 양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하고 그 교합은 모든 하악운동에서 구치 이개를 부여하기 위하여서 가능한 한 언제나 변경되어야 한다. 

 만일 전방 유도가 비 기능 측사 nonfunctioning inclines)을 이개 시킬 수 없으면 작 업 측에서 구치가 이개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만일 완전한 절단 교합이 안정되고 편안하며 치주조직이 건전하다면 그것을 변화시킬 이유가 없다. 그런 교합에서 어떤 교합장애가 인지되면 그 장애는 기능 범위(envelope offunction)에 어떤 문제를 야기시킬 장애를 주지 않고 가능성을 배제하고 선택 삭제로 고칠 수 있

 

 

 

3. 전치부 절단 교합의 수복 

 

-절단 교합을 이룬 전치를 수복할 필요가 있으면 그 수복 물의 전방 유도의 기능은 외형을 기술적으로 변경시켜서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절단 연 위치를 약간만 변 르 야가 포 화 시켜도 전치 기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상악 절단 연을 전방으로, 하악 절단 연을 내측으로 움직여 줌으로써 전 방접촉을 2mm 이상 연장시킬 수 있다.

 전방으로 내미는 과두의 하방운동과 함께 2~3mm의 첨가된 전방 유도는 만일 구치의 교합면 형태가 평평한 전방 유도에 의해 이개  되도록 형성되면 구치를 이개 시키기에 충분하다. 전치부 절단 교합 시 전방 유도에 급격한 경사를 주어서 는 안된다.

전방 유도는 거의 평평한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한다. 전방유도 접촉 거리를 연장해주는 형태로 개선해야 지 급경사지게 해서는 안된다. 수평적 전방 유도를 주어도 만일 교합면 외형이 충분히 평평하고 교합평면이 정확하 면 구치를 이개 시킬 모든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절단 교합에서 수복을 통한 치아의 재형 성은 만일 스트 레스가 치아장축방향을 벗어나 가해지면 특수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장기간 지속된 절단교합 관계에서는 교 스트레스가 장축방력을 받을 수 있도록 치아의 외형을 갑자 기 변경하면 치근막 섬유가 재배열되고 치조골이 측방력에 대하여 더 저항을 얻을 때까지 tenderness나 과동요 (hyper-mobility)와 같은 원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스트레스를 치아 장축에서 벗어나게 하는 치아 외형을 형성하지 않도록 조심해한다. 만일 절단 연을 치아 장축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 splinting으로 그 위치에 치아를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4. 절단 교합관계 변경 시 특수 고려사항

 절단 교합은 흔히 단순한 부정교합으로 취급된다. 왜냐 하면 Class I 관계의 요구조건에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 다 그것은 교합을 변경시킬 타당한 이유가 못 된다. 대 신 교합관계를 변경시킬 결심을 하기 전에 다음 인자를 조심스럽게 평가해야 한다

-안정성(Stability) 

절단 교합이 안정성이 있는지는 주로 다음 2가지 인자에 달려 있다.

(1) 중립대와 조화(Harmony with neutral zone)-주립대 와의 조화는 강한 혀, 볼, 구순의 압력이 완전한 교두 감합 관계와 꼭 같이 효과적으로 치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중립대와의 조화는 교두 감합 위 배열보다는 안 정성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만일 그것이 근력과 조화가 되어있지 않으면 안정된 교두감합위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2) 기능 범위와 교합장애가 없음(non interference with the envelope of function)-절단 교합분석 시 불안정성의 특수 증상에 대해 조심스럽게 검사하여야 한다. 만일 과잉 동요, 과도한 마모, 치아의 이동과 같은 증거가 없으면 절단 교합관계는 교합 전망으로 볼 때 안정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안정성은 중립 대나 기능 범위(envelope of function)와 조화를 이루지 않고 는 일어나지 않는다\

기능(Function) 

안정된 절단 교합관계를 갖은 환자가 기능이 부적절 하 다고 불평하는 경우는 드물다. 만일 중심 위와 조화를 이 룬 충분한 수익 안정된 holding contacts이 있으면 절단 교합 환자에서 기능의 상실이 문제 되지 않는다. 

심미성(esthetic) 

 절단면 관계를 파괴하는 악습관이 없을 때 전치부 절단 교합은 가끔 아름다운 미소를 보여준다. 심미 적인 이유로 그것을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골격 안면 외모(Skelet○facial profile)

절치 절단 교합관계의 치료를 바라는 상당한 수의 환자에서 주소(c.c )는 실제 교합적 관계와 관련된 것보다 안모와 더관계가 있다. 진단모형과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 분석을 통하여 골격 안모 문제를 평가한다. 

 두부 계측 방사 선 사진의 평가 목적은 절단 교합관계가 미 발육된 상악골에 의한 것인지 또는 과발육된 하악골에 의한 것인지 또 는 양자의 결합으로 생긴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McNamara's plane이 이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쉽게 참조할 수 있는 참조선이 된다

중립대(Neutral zone) 

절단 교합관계가 facial plane이나 McNamara's plane의 후방에서 일어나면 양악 결손의 증상으로 "pushed-in' 외모를 나타낸다 보통 악궁의 크기에 매 우 강한 협근 구륜근 제한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교합관계는 조심스럽게 치료해야 한다.

상악이나 하 악 segments를 전방으로 내밀려는 시도에 앞서 근조직의 분석과 근육 자체의 위치나 길이의 가능한 변경을 해 야 한다. 

 절단 교합관계가 McNamara's plane의 전방에서 일 떠나면 그것은 양악 전돌의 관계이며 강하거나 제한된 협 구륜근 복합체와 함께는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중립 대와 충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예후가 좋다. 그러나 거대 설이 있을 때는 예외이다. 최소한의  견치 유도 교합  전치의 절단 교합 등은  보철을 만드는 데 있어 최소한의 지식이라고 생각이 든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