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기접촉(Premature Contact)

오늘도 치과에서 더할 나위 없이 많이 듣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이공계 쪽에서 꼭 필요한 용어이죠. 여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기 접촉

조기 접촉의 관련된 사진을 먼저 보겠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먼저 몇몇 곳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부분의 교합이 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교두에서 일어나는 간섭으로 이 나면 새로 만든 보철에서 교합이 높아서 일어나는 부분이라든지 여러 가지 복합적이라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조기 접촉 정의

조기접촉(Premature Contact) 폐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면 교합면 접촉으로 정의되어 있음 ( deflective occlusal contact) 사면 교합면 접촉( deflective occlusal contact) 이런 고유한 운동 경로에서 다른 운동 경로로 하악을 유도하거나, 의치상과 지지조직 간의 관계를 방해하는 접촉.

 

@조기접촉 내용

상하악의 치아가 최대 접촉면적을 갖고, 안정된 교합관계로 되기 이전에 치열 내의 한 개 또는 몇 개의 치아가 대합치와 닿는 상태를 조기 접촉이라 한다.

조기접촉(Premature Contact)의 종류

  • 1. 중심위에서 나타나는 것
  • 2. 측방위에서 나타나는 것
  • 3. 전방위에서 나타나는 것 이중 판심 운동을 할 때의 것은 ' 교합 간선'이라 하며, 중심위에서의 것과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조기 접촉과 악관절증) 중심위에서의 조기접촉은 건강한 치열을 갖는 정상인에도 발견되지만, 중심 위와 교두감합위의 부조화는 악구 강계에 이상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이다.

조기 접촉

중심교합위와 교두감합위 사이에 존재하는 조기접촉은 밑에 교두 감합위가 중심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 ①교두감합위 가 중심 위의 전방에 변위하는 것(MIOP: mesial intercuspal occlusal position)
  • ②교두감합위 가중 심 위의 측방에 변위하는 것(LIOP : lateral intercuspal occlusal position)의 두 가지가 있다. (각각 종말 접번 교 두감합위)  일반적으로는 전방위에 변위하는 예는 정상인 구강 도 많이 나타나며, 변의 량이 커지는 경우만 병적으로 된다.

이것에 대해 측방의 변위는 대단히 유해하며, 그 병 빈도 또한 높다.  측방위의 조기 접촉 중, 특히 균형측에 존재하는 위해 작용이 크다고 한다. 이것은 작업 측에 비해 간에서 수평 방향의 엇갈림이 커서 조기접촉부에 심한 측방력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동시에 원인치를 지점으로 한 하악골의 이동현상도 발생하여, 악관절은 정상적인 위치에서보다 스테 레이스를 많이 받는다.

조기 접촉

★조기 접촉이 중심위에서 나타나는 경우

그림 1]은 중심교합위에서 상하악의 교합적촉관계이다. 상하악치열의 대합하는 치아는 최대접촉면적을 가지면서 감합한다. 일반적이 유치악 환자에서 습관적 개폐로는 이 위치에서 시작하여 이 위치로 끝난다. 그림에서는 중심교 합위와 중심교합시의 엇갈림을 확인할 목적으로의 수 직선을 표시한다.

그림 2]는 같은 환자에서 중심위에서의 조기접촉 발현위 (CRP)를 나타난다. 중심위 와 중심교합위가 일치하는 증 례에서는 중심위에서 모든 구치가 동시에 같은 힘으로 교 합접촉한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을 경우 중심위에서 교 합하면 치열중의 하나 내지 몇 개의 다른 치아에서 대합 치와 조기 교합접촉하고, 그 치아는 다른 치아에 비해 과 중한 교합력을 받게 된다. 

하악이 최후방위로 물려 들어갈 때 먼저 한 개 또는 몇 개 치아의 교두가 대합치와 닿아 중심 위로 향하는 하악운 동을 방해하며, 하악은 중심교합위로 활주 변위해 간다. 또한, 이 활주는 그림 3과 같이 전방으로 변위하는 것 외에 측방으로도 변위할 수 있다.

조기 접촉

측방으로의 변위가 더욱 유해하며 또, 그 발생 빈도도 높다 중심위 관계에서의 조기접촉에 의해 하악은 편심성 사 면을 따라서 교두감합위로 유도되어 활주변위한다. 그래 서 이것이 오래 계속되면 약 근육 내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이갈이나 악관절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촉을 정확히 진단하는 데는 Lucia jig나, splint, 중심위에의 악어도 법 등에 의해 인기 된 중심위 기록으로 진단 모형을 교합기에 부착한 뒤 교합 기상에서 조기 접촉부위를 재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교합의 부조화가 원인으로 악관절증이 발생한 경우는 이 중심위의 접촉 상태에서 점차 교합조정하고, 중심위와 감합 우의 어긋남을 수정하여 교합 자극에 의한 근육의 긴 장을 완화해야 한다.

따라서 수정이 부적 합한 경우에는 더욱더 병적인 긴장이 커지는 결과가 되며, 평소에 보철 물을 장착할 때의 교합조정 시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 조기 접촉이 측방위에서 나타나는 경우측시 방위에서의 조기접촉은 작업 측과 빈 작업 측의 어긋난 데서 모두 일어날 수 있지만, 작업 측보다도 빈 작업 수평운동이 크기 때문에 조기 접촉부에 그만큼 강한 측방 력이 가해지기 쉽다고 생각된다.

 

(그림 4)그 때문에 위해 작용도 크고, 치주조직의 손상이나 악구 강계에 이상을 호 소하는 악관절증의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또, 조기 접촉의 원인치를 지점으로 지렛대 현상이 일어나 인대가 느슨 해지면서 ISS를 발생하는 수도 있다.작업 측의 교합 간섭은 그림 5와 같이 상하의 협측교두 리 또는 설측교두끼리 닿아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과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치질 삭제의 원칙은 상악이 협측교 두를, 하악은 설측 교주를 각각 삭제하여(Bull의 법칙). 지지 교주인 상악 설측 교두와 하악협 측교두는 될 수 있는 한 삭제하지 않는다.

조기 접촉

단, 지지 교주의 기본적인 형태나 작 용에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 지지 교두를( recontouring) 을 할 수도 있다. 조기 접촉의 제거조기 접촉이 원인으로 악관절증이 일어난 경우는 교합조정하여 이것을 제거해야 한다. 임상적으로는 반 조절성 교합기에 상하악 치열 모형을 중심 위로 부착하여 미리 교합진단을 해둔다.

  • 중심위와 중심교합 위의 엇갈림이나 그 원인치를 명확히 파악해 놓는다.
  • 그 후 교합조정의 원칙에 따라서 실제로 치아를 삭제한다.
  • 치질의 삭제량이 많아질 경우는 보존, 보철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우리는 지금 조기접촉(Premature Contact)의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 또한 기존의 논문의 분석과 요약 후기입니다.앞으로도 더 좋고 필요한 부분의 글로 다시 다가오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