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상과정 (the impression process)
오늘은 치과에서 인상채득에 관한 과정을 그리고인 상재에 대한 내용 등을 써 보고자 한다
Philip Phaff가 연화된 왁스를 이용해 인상채득을 시작한 1755년 이 새로 인 상채득 술식이 개발되기 시작하여, 지난 250여 년간 인상 재료와 인상 방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1930년대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아가와 알지 네이트) 가 도입되었고 1950년대에는 "rubber base"로 알려진 폴리 설 파이드 탄성중 합체 인상 재가 도입되는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 60년대에는 폴리 이서, 70년 대부터는 부가 중합형, 축 중합형 실리콘 인상재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최근 25 년 동안은 인상재의 화학적 성질을 계속하여 변형하는 작업이 진행되었고 (rendered hydrophilic addition-reaction silicones, advanced next generation ployether), 동적혼합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인상채득 법이 더욱 발전하고, 치은 조직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도 더욱 높아졌다.
이 시기에 인상채득 술식은 과학과 예술의 융합으로 더욱 발전하였다. 과학적 면으로는 인상재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과 치열의 해부형태학적 특징, 그리 조직의 생리와 구조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였다.
예술적인 측면에서 과학을 임상가의 기술과 경험에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하였다. 인상채득과정 은 인상재의 선택, 지대치 형성, 임시 수복, 인상채득 등의 서로 상관성 있는 단 계들을 거쳐 진행되는데, 이 과정 동안 오차를 일으킬 수 있는 수많은 가능성들이 있다.
정확한 최종인상은 이러한 단계가 적절한 조화를 통하여 얻어진다. 가장 중요한 두 요소는 선택과 기술이다. 정확한 인상은 간접 수복물의 적합도와 수명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이다.
치과 인상재들은 구강구조를 복제하는데 이용되고, 이 복제과정에서 유동성을 띄거 나가 소성을 띤다. 유동성 인상재들은 물리적 변화와 화학반응 또는 결합을 거 쳐 치열의 음형 복제물을 만들고, 여기에 고강도 석고를 부어 구강구조를 복제하게 된다.
근래의 두 세기 동안 9종류의 인상재들이 치과용으로 개발되었다. 비탄성 재료로 플라스터, 컴파운드, 산화 아연유지놀 등이 있고, 탄성 재료로는 일지 네이트(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아가(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폴 리 설파이드 축 중합형 실리콘과 부가 중합형 실리콘(polyvinyl siloxane), 폴리 이서 등이 있다.
간접수복법의 임상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정확한 작업모형이 필요하고 이는 곧 정확한 최종 인상이 필요함을 뜻한다. 작업모형이나 최종 수복물의 정확도를 평가한 많은 invitro 연구들에서 중합체 기반의 인상재들이 형성된 치아와 주위 잇몸 조직의 복제에 높은 정확성을 보였는데 이는 형태 안정성이 좋으며 고도로 정확한 작업 die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적인 탄성 중합체 인상재는다음과 같은 물리적, 기계적인 특징들을 가져야 한다.
- @친수성
- @탄성고체로의 완전 전환
- @경화 전에 유체 상태 ,
- @체적 안정성
- @표면 재현의 정확성을 잃지 않으면서 소독 가능할 것
- @생체적합성이 있으며, 독성이 없으며 맛과 향이 만족스러울 것 "
- @작업 시간이 길고, 경화 시간은 짧을 것
- @유효 기간이 길 것 ,
- @찢김 강도가 우수
- @정확성을 잃지 않으면서 여러 번 pouring이 가능할 것
- @탄력성이 있어 제거 중에 영구적인 뒤틀림이 없을 것
- @표면 복제 정확도가 높을 것
- @석고와의 적합성
현재로서는 어떤 인상 재도 위의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다양한 인상재들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여야 특정한 임상적 상황 에마는 인상재를 선택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인상재들은 수많은 간접 수복 증례에 서 환자, 치과의사, 기공사 모두를 만족시켰다, 이중 가장 많이 쓰이는 세 가지가 폴리비닐 실록산 폴리 이서, 비닐 폴리 이서 혼합체들이다. 이 재료들은 존 술 식, 치과보철,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쓰인다.
■인상재의 선택
탄성 인상재의 유동적 성질(rheologic properth)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는데 이런 성질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들이 인상채득과 관련된 문제를 가진 특정한 임상적 상황에서 적절한 인상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장 중 요한 물리적 성질에는 점도, 친수성, 경화시간, 형태 안정성, 찢김 강도, 탄성회 복력 등이 있다.
■ 점도(viscosity)
점도란 인상 재가 경화 전에 가지는 흐름성을 말한다. 낮은 점도를 가진 물질은 흐름성이 좋고, 높은 점도를 가지면 흐름성이 나쁘다. filler의 비율이 높을수록 점도는 높아진다. 점도는 재료에 가해진 전단력의 영향을 받는다. 전단응력이 높을수록 인상재의 점도는 떨어지는데 이를 shear thinning이라고 한다.
즉, 전단응력에 따라 인상재의 점도는 변한다. 또한 점도가 높을수록 shear thinning의 효과는 커지는데 이런 현상은 필러 입자 크기가 작은 것과 연관이 있다. 낮은 점도의 재료들은 light body, syringe material wash material 등으로 불린다. 이들은 흐름성과 미세 재현성이 좋지만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의 경우 점도가 더 높은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점도가 낮은 인상재를 밀어주고 지지하도록 한다.
■친수성(hydrophilic)
인상재의 친수성 정도에 따라 친수성, 소수성, hydroactive로 구분한다 면 젖음성은 고체에 대한 액체의 친화성을 뜻하며, 접촉면의 각도로 수치화할 수 있다. 표면이 완전히 젖은 경우 0도가 되며, 덜 젖을수록 각도가 커진다. 수분에 대한 친화성은 재료가 구강 내 환경에서 미세 재현 능력에 큰 영향을 다 친수성 재료들은 수분에 대한 친화력이 좋고(즉, 낮은 접촉 각도) 표면 성이 좋고, 표면 미세 재현성이 뛰어나다.
반면에 소수성 재료는 그 반대이다. Hydroactive 인상재는 평소에는 소수성이었다가 계면활성제를 꾸 하면 친수성으로 바뀌는 재료를 말한다. 이들 재료들은 표면 젖음성이 매우 좋고(낮은 접촉 각되, 표면 미세 재현성 도 매우 좋다.
단, 인상재의 젖음성을 평가할 때, 인상을 채득 하는 표면이 연조 직인지, 경 조직인지 또는 석 고면인지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표면에 따라 서 재료의 젖음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 경화시간
경화시간이란 인상재를 혼합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완전히 굳어 변형 없이 구강 내에서 제거될 수 있는 때까지 걸린 시간을 말한다. 작업시간은 인상재를 혼합한 순간부터 최종 인상체에 변형 등을 가하지 않은 채로 인상재를 조작하는 것이 불가 능할 때까지를 말한다. 인상재는 완전히 혼합되어 작업시간이 끝나기 전까지 제자리에 안착되어야 한다. 탄성중합체 인상재들은 약 2분 정도의 작업 시간을 가지고, 2-6분(fast set 또는 regular set) 사이의 경화시간을 가진다.
대개의 경우 작업시간과 경화시간이 일치하므로, 경화시간이 짧으면 작업시간 도 짧고 경화시간이 길면 작업시간도 길어진다. 탄성중합체 인상재의 경화시간 은 온도의 영향을 받으므로 작업시간을 늘리기 위해 혼합 전에 재료를 냉장보 관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재료가 2℃ 정도로 냉각되었을 때 작업시간 이 90초까지 늘어난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재료를 냉각시키는 것은 automix tip이나 dynamic mixing unit을 이용하는 경우에 주의를 요하며, 65°F(18.3℃) 이하에서는 인상 재료의 흐름성에 영향을 주어 base/catalyst 비 율이 변할 수 있다. 경화시간과 작업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습기, base/catalyst 비율, 혼 합방법 등이 있다. 또한, 재료가 완벽히 중합되도록 채득시간을 길게 주면 탄성 회복력이 향상되고 영구적 변형이 줄어든다.
형성된 치아의 인상에 필요한 작 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형성된 치아의 수, automx 또 는 handmix 인상재의 사용, 재료의 점성, 보조인력의 도움 형성된 치아 주위에 syringe로 재료를 주입하는지 여부, 트레이의 정확한 안착에 걸리는 시간 등이다 형성된 치아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automix 재료를 사용하고, 작업시간 이 길며 점성이 낮은 syringe용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다.
■ 형태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
구강 내 구조를 정확히 복제하는 것은 인상재의 형태 안정성에 달려있다. 탄 성중 합체 인상재의 형태 변화는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 중합 수축에 의 한 체적의 감소, 부산물이나 촉진제 성분의 소모로 인한 부피 감소 습기 흡수. 온도 변화 등 적절한 형태 안정성을 가진 재료들은 약 7일 정도 인정하며, 운송 중의 온도 변화를 견디면서도 여러 개의 정확한 주조체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 찢김 저항성과 탄성 회복력(tear resistance and elastic recovery)
인상재는 찢어지지 않으면서 제거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찢김 에너지가 큰 재료라 함은 인상을 채득 할 때 찢어짐에 잘 저항하는 것을 말한 다. 탄성은 재료가 찢어짐에 저항하면서 응력을 받기 전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해 주는데 이러한 회복의 정도를 통해 재료의 탄성 회복력을 측정하게 된 다 만일 중합체가 탄성 회복이 가능한 시점을 벗어나 늘어나게 되면 영구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인상재의 경우에는 영구적이기보다는 찢어지는 것이 바람직 한데 특히 변연부에서 중요하다. 영구적인 변형은 중합체 사슬이 가교 결합된 정도, 온도, 적용된 응력의 정도 등과 관련이 있다. 두 물리적 특성들(찢김 저항성과 탄성 회복력은 인상체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고 석 고모형에서 떼어내는 과정에서 인상체가 정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적절한 찢김 저항성과 탄성 회복력을 가지는 재료들은 여러 번의 pouring을 통해 정확한 석고 모형 여러 개를 만들 수 있다 이 것은 현대의 치과 수복학에서 큰 장점이 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탄성중합체 인상재에는 폴리 이서, 폴리비닐실록산, 비닐- 폴리이서 혼합체들이 있는데 이들에 대해 기술하고 서로 비교하여 간접 봬 수복에 이용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본다.
■폴리 이서 인상재
폴리이서 인상재는 과거부터 임상에 성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1960년대 독일에 서 처음 개발된 당시에는 단일 스텝용으로 중간 정도의 점도를 가진 재료였다. 그 이후로 꾸준히 화학적 성질을 개량하여 점도 경화시간 강성 등에 변화를 주었다. 폴 리이 서는 basecatalyst의 two-paste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둘이 혼합되어 반응하면 paste가 중합체로 변환된다.
이 중합체는 이온 중합을 통해서 형성되고 말단의 mine ring이 열린다 양전하를 띤 개환 구조(Open ring)는 주변의 폴리 이서 사슬과 연쇄 반응을 통해 완전한 중합체가 형성될 때까지 계속적인 중합 반응이 일어난다 중 합 과정에서 휘발성 부산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중합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형태 안정성이 오랫동안 유지된다. 폴리 이서의 주요 특징으로는 성, 좋은 젖음 성, 좋은 표면 미세 재현성 등이 있다.
그러나 흡습성으로 인해 보관과 소독이 중요하다. 습기가 많은 곳이나 물에 보관할 경우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폴리 이서 인상체를 glutaraldehyde에 10분간 소독한 후, 건조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7일까지 는 형태 안정성이 유지된다.Impregum F. Impregum Penta (3M Perrndyne(3M ESPED, Ptlyjd NFDatsplyCaulk), P2(Heraeus Kulzer) 둥이 폴리이 서 인상재이다. 폴리이서 인상재의 장·단점은 뒤에서 정리해 보자.
■부가 중합형 실리콘 인상재
폴리비닐 실록산(PVS)이라고 부가 중합형 실리콘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인상재의 종류이다, 1970년대에 축합반응과 부가중합 형실리콘에 대해 알려지 고 이후 25년간 그 화학적 구조변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부가중합형 실리콘은 base와 catalyst로 이루어진 two-paste 제품으로 되어 네, 베이스와 촉매를 섞으면 실록산과 비닐기 사이에 부가중합 반응이 일 있나서 실리콘 고무의 교차결합이 이뤄진다 축 중합형 실리콘과는 다르게, 인 상재가 굳는 동안 중합과정에서 휘발성 부산물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중합 수축 이 줄어들고 형태의 변화가 최소화된다.게다가 반응이 완료되는데 수시 리는 폴리설파이드 축중합형 실리콘, 폴리 이서와 같은 단계식 반응과 다르게 부가 반응은 그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어 변환이 거의 다 완료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인상을 제거했을 때 형태적 안정성이 높고, 덕분에 점탄성 회복에 20-30분 정도 소요되는 다른 탄성중합형 인상재와 다르게 구강 내에서 인상을 제거하고 나서 언제든지 석고 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 부가 중합형 실리콘 인상재를 사용하는데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수소 기체의 배 출, 라텍스 글러브로 인한중합반응의 억제, 수분조절에 대한 것들이 있다. 인상 재의 경화와 관련없이 부작용으로 인한 수소기체의 배출이 일어나는 것을 outgassing이라고 하며, 이로 인해 모형에 기포가 발생하게 된.
하지만, 현 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부가 중합형 실리콘은 약간의 백금이나 팔라듐을 유리기포 촉제(scavenger)로 함유하고 있어서, 최종 모형에서 기포를 만드는 수소기체가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중합이 저해되는 기전은 부가중합형 실리콘인상재 에 함유된 백금촉매(염화백금산)가 라텍스 장갑에서 나오는 황 함유물질에 오염 되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인상을 채득하는 동안에는 황을 가속제로 사용하 지 않는 비닐이나 니트릴 장갑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Methacrylates. acrylic resins, petroleum jelly가 남아 있는 경우에도 부가 중합형 실리콘의 반응을 방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인상재가 세부형태를 재현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최종인상을 채득하기 전에 치아 삭제부분이나 그 주변 구조를 깨끗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가중합형 실리콘에서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소수성 성질 때문에 수분을 조절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일부 공급업체에서는 계면활성제를 추가하면 친수성이 생긴다고 얘기하지만, 실제로는 소수성이 덜해질 뿐이지 친수성이 생기지는 않는다. 계면활성제는 접 촉각을 낮추고 재료에 대해서 젖음성을 높여준다. 하지만, 막 섞인 인상재에서 계면활성제가 표면에 안전하게 이동되지 못하므로 구강 내의 수분과 닿기 시작할 때 친수성 성질을 보이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가 중합형 인상재의 소수성 성질 때문에 수분이 조절되지 않는 곳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부가중합형 실리콘인상재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은 정확도 무한한 형태적 안정 성, 뛰어난 탄성회복력이다 이 재료는 다양한 점성을 가질 수 있어서 다양한 인상법에 적용할 수 있다.
부가 중합형 실리콘 인상재는 glutaraldehyde, phenolic glutaraldehyde, ium hypochlorite, comp lex phenolics, iodophors 등에 담 가서 정확도의 손상없이 쉽게 소독할 수 있고 일주일 이상 형태적인 안정성을 유 지할 수 있다10, 29,at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로는 Flexitime (HeraeusKulzer), Aquasil Ultra tsply/Caulk), Splash! DenMat), Virtual UvoclarVivadent) print II (3M ESPE)가 있다.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의 장담점은 뒤에서 정리해보자.
■비닐- 폴리 이서 혼합 인상재
비닐-폴리 이서 혼합 인상재는 가장 최신의 탄성 중합 인상재이다. 비닐-폴 리이서 혼합 인상재는 부가 중합형 실리콘 인상재와 폴리이서 인상재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인상재는 base와 catalyst로 이루어진 two-paste system으로, base 와catalyst를 섞으면 폴리이서와 실록산기 사이에 두 가지 부가 중합 반응을 통해 중합 연결이 형성된다. 첫번째 반응은 부가중합 실리콘 인상재와 비슷한 반응이지만, 두 번째 반응은 비닐기로 끝나는 폴리 이서가 실록 산에 부가 중합되면서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폴리 실록산과 폴리 이서 가공 중합체를 형성하고, 두 탄성중합체의 성질을 혼합한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럼 로 중합체의 폴리 이서기는 계면활성제의 첨가 없이 친수성을 부여하고, 반면에 중합체의 실록 산기는 형태적 안정성과 변형에 대한 회복력을 부여한다.
하지만 혼합체의 성질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는 탄성중합체의 폴리 이서와 폴리 실록산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공중합체는 많은 양이 존재하는 탄성재의 성 질을 가지게 된다. 재료가 백금촉매를 가지고 있으면 중합 반응이 라텍스 장갑의 황성분에 오염될 수 있다. 하지만 혼합 인상재는 다양한 점도(putty, heavy medium and wash materials)를 가질 수 있어서 다양한 인상 기법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인상재의 장점은 부가 중합 인상재의 뛰어난 탄성력과 폴리 이서의 친수성을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을 확인하기 위한 연 구가 필요하다. 비닐-폴리 이서 혼합 인상재(eg, EXAlence, GC America)의 가장 중요한 점은 경화하는 동안에는 친수성을 나타내고 중합 이후에 형태적 안 정성과 탄성 회복력이 있다는 것이다.
■인상 기법
정확한 인상은 간접 수복 법이 성공하기 위한 토대이자 출발점이다. 치과 수복학에서 사용되는 현대의 인상 기법은 삭제한 치아의 형태, 연조직의 위치, 치아 삭제면의 변연 구조, 삭제된 치아와 주변 치아 및 연조직과의 관계 등을 기 록하기 위해서 치은 조직의 변위를 필요로 한다. 수복과 치주적인 문제는 부적 절한 치은 연하 변연, 연조직 조작 과정 중의 외상, thin tissue biotype, 비 대한 섬유 유두 조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정확한 최종인 상의 달성은 치아 삭제, 임시 수복물, 인상채득의 과정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실행되어 야이 룰 수 있다.
■정확한 인상을 위한 유의사항
최종인 상의 질, 정확성, 예측성과 관련해서 매우 많은 사항들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로는 인상재의 선정, 환자의 편안함, 수분 조절, 지혈, 치은 견인 방법 및 변위 시간, 인상 트레이의 종류 및 크기, 인상재의 양, 시기, 인상재 를 섞는 방법, 연조직 상해에 대한 잠정 수복물의 적합도, 치아를 삭제하고 인상을 채득 하는 동안의 조직관리, 술자의 경험과 기술 등이 있다 연구에 따르 면, 최신 재료의 선택은 성공적인 인상채득을 보장해 주지는 않으나 인상의 정 확성은 그 기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정확한 인상채득을 위한 몇 가지 평가 요건들이다.
- @변형을 견디고 구강 내에서 제거할 때 찍어지지 않도록 warh 인상재를 충 분히 두텁게 한다.
- @인상이 안 나오거나 기포, 찢어짐, 늘어나는 것이 없도록 한다.
- @재료를 균질하게 섞는다.
- @인상재와 접착제, 트레이 사이에 균일한 결합.
- @깨끗한 표면 미세구조가 재현될 수 있도록 타액이나 혈액 같은 이물질을 제 거한다.
- @변형이 없도록 하고 완전히 경화된 후 제거한다.
■tissue management(연조직 관리)
건강한 치주조직은 성공적이고 정확한 최종 인상체를 채득 하기 위한 전제조 건이 된다. 인상을 채득하기 전에 치은 조직에 염증이 있으면 인상을 채득 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출혈과 치은열구액의 수분이 인상체를 변위 시켜서 인상 채득이 안되거나 뭉개지는 부분이 생기고, 그로 인해 불명확한 구조의 인상 득이 이루어져서 정확하지 않은 모형이 만들어지고 적합이 적절치 못한 촤종 수복물이 만들어지게 된다. 게다가 치은 연하 변연에 염증이 있으면, 치은퇴 축이 일어나서 수복물의 변연이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연조직이 적절하게 관리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첫 치료를 진행하면서 술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자극적이거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조절하고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치태와 관련된 인 자들을 조절하거나 수복에 관련된 요소들을 좨 하면 된다. 안타깝게도 연 조직 상태의 호전을 위하여 치아 삭제 후 인상채득 과정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따라서 초기 치료에서 잠정 수복물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서 최종 인상체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들은 인상을 채득 하기 전과 최종적인 수복물이 만들어지 는 기간 동안 치은의 위치, 모양, 색을 유지하고 치주건강을 유지하도록 한다.
치아 삭제와 인상채득 단계에서의 연조직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치은 조직의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치아를 삭제하고 인상 기법에 따라서 어 게 조직이 반응할지 예측에 가장 중요한 점은 유리 치은 변연과 치조정 사이의 떻 관계에 대한 것이다. 술 전에 협측과 치간 사이의 치조골의 높이를 기록하고 확 인하여 생물학적 폭경을 유지하는 것이 수복 후에 치은 변연의 위치와 치주 건 강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상채득 기술에 대한 임상적 제안
다양한 보존적, 보철적 재건술을 위해 다양한 인상채득 방법이 활용되었다 다양한 인상채득 방법에는 putty-wash 1단계 혹은 2단계 시스템, dual -arch 방범 one-step/double-mix 인상채득 방법과 같은 동시에 이중 점성 인상재 를 이용 방법이 있다. 인상재는 깨끗하고, 뚜렷하고, 마른 치아 표면만을 완 벽하게 재현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치은연하 finish line이 있는 치아 형성 시에 는 치은 조직의 변위가 필요하다.
전기 수술, 버를 이용한 치은 소파(rotary val curettage), diode laser-assisted ging ival troughing 등익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치은 조직 변위 방법으로 압배사의 사용이 권장되며 인상채득에 의한 치은퇴축 조절에서도 높은 예측가능성을 보 여준다. 한 연구에서는 일관된 정확도와 결점이 없는 인상채득을 위해서는 열 구의 최소 넓이가 0.2mm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두께를 얻기 위해서는 치은 열구 내에서 최소 4분 이상 cord를 위치시키도록 권장한다. 수복 후의 치은 변연 높이와, 치아 형성, 치은압배, 인상채득 후 치주건강을 예 측하는 여러 가이드라인이 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진단 단계 및 수복치료 약속 전에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야 치아형성, 인상채득, 보철물 장착 후 안정 적이며 건강한 치주조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치아 형성전 치아의 순면과 인접면 부위의 측정을 통해 예측 가능한 분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치조정의 위치는 3개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 낮음, 높음 일반적인 치조정의 위치는 인접치가 존재할 때 전치부는 순면에서 3mm, 인접 면에서 4mm 정도이며, 약 85%의 환자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치은 변연에서 치조정까지의 깊이가 이 값보다 크면 낮은 치조 정위치라고 하며, 13%의 환자들 이 이 분류에 속한다.만약 평균 값보다 작으면 높은 치조정위치라고 하며 2% 의 환자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일반적인 치조 정위치에서는 조직 조작이나 인 상채득 후에도 치은 조직이 일반적인 치조 정관계로 유지된다. 하지만 높은 치조 정관계에서는 외상적인 조작이나 치은연하에 변연 형성 시, 최종 수복물이 치조정에 너무 가깝게 놓여 생물학적 폭경을 침범할 수 있다. 낮은 치조정 위치이면서 얇은 biotype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임상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최종 치은 위치에 큰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최적의 수복물을 위해서는, 높거나 낮은 치조정이 진단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수복치료 전치 조골 치료 은 교정치료를 통해 수정되어야 한다. 부가적인 치료가 계획되지 않은 인 경우에는 인상채득 과정 중 부드럽고 조심스러운 조작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치은을 변위 시키는 경우에는 치조정의 위치와 조직의 biotype에 따 배사의 크기와 개수가 조절되어야 한다. 높거나 낮은 치조정관계를 가지는 우에는 단일 압배사 방법이, 일반적인 치조정위치를 가지는 경우에는 단일 압배사 방법이 추천된다. 다음 그림들은 일반적인 치조정위치를 가질때 치은 변위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준다.
■결론
정확한 인상을 채득 하는 것은 수복 치의학에 있어서 가장 도전적인 과정이며, 간접 수복의 성공의 기초이자 청사진이다. 이러한 도전적인 과정의 정확도와 예측성을 향상하기 위해 수년간 수많은 방법과 재료들이 개발되어 왔다. CAD/CAM 기술의 적용범위가 증가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됨과 함께 흥미롭고 유망한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상된 구내 광 스캐너는 인상재와 트레이를 사용하는 기계적 방법을 간단하게 하거나 심지어 더 이상 필요 없게 할 수도 있다 형성된 치아의 수치화된 정보는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정확한 주모형과 최 종 수복물을 제작에 바로 쓰일 수 있으며, 변성되는 인상재 대신 디지털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이 일반적 치료에 추천되기 전에, 다양한 변수들을 과학적 임상적 실험을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용 세라믹에 관환 고찰을 알아보자. (0) | 2019.10.14 |
---|---|
치아 변색에 관한 이야기 biomodification (0) | 2019.10.11 |
치아삭제의 원리(principles of tooth preparation) (0) | 2019.10.04 |
진단과 의사소통(diagnostic and comunication concepts) (0) | 2019.10.03 |
피개 수평 피개 수직 피개 (overlap. overjet. overbite ) (0) | 2019.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