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피개, 수평 피개, 수직 피개 (overlap. overjet. overbite )

피개 Overlap

@정의 : 피개란, 상악 치열이 하악 치열을 지붕처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수평 적 피개와 수직적 피개로 나뉜다.

@해설 : 인류학적으로는 상악 절치가 하악 절치를 조금 덮는 가위교합이 가장 일반 적인데, 그 외에 가위교합보다도 깊게 상악절치가 하악절치를 덮는「지붕 교합」, 상 하악의 절치가 각각의 절단에서 서로 맞물리는「겸재 교합」(절단 교합이라고도 한다), 통상과는 반대의 피 개인「반대교합」이 있다.

가위 교합은 인류의 특징이며, 다른 포유류에서는 일반적으로 겸자 교합을 나타낸다. 또, 인류라 해도 고대 인류에 서는 대다수가 겸자 교합이다. 이러한 현상은 인류의 치아가 축소되어 없어지는 과 정에서 그때에 상악보다도 하악 쪽이 급속히 축소된 결과.라고 생각하고 있다 한편, 일본인에 관하여 보면, 메이지 초기에는 지붕 교합이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점차로 그 빈도가 감소하여 현재는 약 3%에 지나지 않는다.

그 원인은 최근 100년 사이에 안면고 경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피개는 전치부만이 아니라 구치부에도 보이고, 상악의 협측교두는 하악의 협측교 두보 다도 반 교두만 협측에 위치하여, 하악의 협측교두가 상악의 교합면에 맞물린 다. 또, 상악의 설측 교두가 하악의 교합면에 맞물려서 절구방아와 절구의 관계처럼 음식을 씹는 데 있어 상황이 좋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피개 정도는 구치부보다 전치부 쪽이 강하고 경사도 급하다. 이 때문에 교모에 의해 형성되는 교합 소면의 경사는 전방에서 봤을 때 견치에서 가장 급하고, 후방 치로 갈수록 완만하다. 이 배 열은 기능적으로도 의미가 있고, 측방 운동 시에는 견치가 운동의 주도권을 쥐고 운 동을 최후까지 guide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비하여 전방운동시에는 절치의 피개 가 강하기 때문에 절치가 운동을 guide하여 구치는 이개된다. 이러한 전방 및 측방운동시에는 전치에 의한 운동 guide는 anterior guidance라고 불리며, 구치를 이 개시 켜 보호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Anterior guidance의 각도 즉, 시상 절치로각은 시상과로각과 상관관계가 인정되고 있다.

또, 전치의 피개가 상실된 경우에 이 관계를 이용하여 피개를 결정하는 방법 이 제창되고 있다. 즉, 시상과로각을 측정하여, 그것보다 0°~20° 급경사의 시상절 치로각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수평 피개 overjet

@정의 : 수평 피개(overjet)란, 교두 갑 합위에 있어서 상하악 전치에 보이는 피개의 overjet 수평 성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상악 중절치 절단에서 하악 중절치 순면까지의 수 평적 거리로 나타내고, 상악이 전방을 위치하는 것을 (+), 반대인 것을 라고 한다.

@해설 : 상악에 대한 하악의 위치 관계 또는 치열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써, Angle의 분류와 함께 전치의 피해 즉, 수평적 피개와 수직적 피개가 가장 일반적으 로 사용된다. 그 중 수평적 피개는 상하악 전치의 전후적 관계이며, 20대의 평균은 2.64mm이라고 한다. 수평적 피개가 매우 큰 경우는 상악이 앞으로 돌출(전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즉, Angle 분류의 Ⅱ급 1류, 하악 원심교합에서 상악 전치의 전돌을 보이고, 또한 구호 홉과 관계 있는 증례에 가까운 얼굴모양이 된다.

수평적 피개가0인 경우에는 절단 교합 또는 겸자교합이라고 불린다. 교합시에 상하악의 절단이 충돌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현저한 교모가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 수평적 피개가 통상과는 반대로 하악전치가 상악전치의 전방에 위치한 경우는 반대교합이라고 부르고, 때로는 심미 적 및 저작장애 때문에 치열교정 내지 외과수술의 대상이 된다.

수평 피개의 계측방법은 측정기를 수평적으로 쥐고, 상악 절치 절단으로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하악 절치순면에 대어 눈금을 직접 읽어낸다. 수직 피개보다도 측정은 쉬우나, 기준이 되는 상악절치가 경사와 회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부정확하기 쉽 기 때문에 측정 장소를 정확히 기록해둔다. 일반적으로 수평 피개가 크면, 전방운동시의 전치에 의한 유도가 약하거나 또는 없어져 구치의 이개를 얻을 수 없다.

즉, 구치가 전방운동을 guide하게 되어, 부담 이 과중된다. 악기능 장애와 관련해서는 수평 피개가 크면 하악위가 불안정하게 되 고 근육의 지속적인 과긴장이 초래된다고 했다. 그러나 현재는 정상인에서 수평적 피개가 5mm이상 있는 사람의 빈도는 극히 낮다고 하는 역설적인 보고가 있는 것 만으로도 깊은 관련은 인정되지 않는다.

수직피개 overbite

@정의 : 수직 피개(overbite)란, 교두감합위에 있어서 상하악 전치에 보이는 피개의 수직성분을 말한다. 보통은 상악 중절치 절단과 하악 중절치 절단과의 수직적 거리로 나타나고 상악의 절단이 아래 쪽에 위치하는 통상의 피개를 (+), 반대를 (-)라고 한다.

@해설 : 수직 피 개는 상하악 전치의 상하관계이며, 앞장의 수평 피개와 함께, 상악 에 대한 하악의 위치관계를 간단히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보통 은 교두갑함위에 있어서 상악절치가 하악절치순면의 1/3~1/4을 덮는다고 평가하고 있고, 20대의 평균은 2.51mm이다.

피개가 특히 깊은 경우는 과개교합이라고 하며, 때로는 하악전치가 전혀 보이지 않는 증례도 있다. 한편, 교합을 해도 상하악 절치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를 open bite라 한다. 즉, 피개가 전혀 없는 경우를 개교(open bite)라고 하는 것이. 측정할 때에는 교합시에 상악 절치절단의 위치를 하악 절치순면 위에 유성펜으로 선을 그어 개구시킨 뒤 그 선에서 절단까지의 거리를 측정기로 읽는다. 따라서, 수평 피개가 큰 경우에는 측정 이 부정확하기 쉽다.

상악에 대한 하악의 위치관계를 간단히 표현한다는 취지에서 안면정중앙에 대한 상악정중의 좌우적인 위치와 상악 정중앙에 대한 하악정중앙의 좌우 위치, 거기에 구치부의 위치관계인 Angle의 분류 도 병행하여 기록해 두면 좋다. 수평 피개가 동일한 때는 수직 피개가 깊을수록 시상절치로각은 커지고, 전방운 동시의 전치에 의한 guide는 강해서 구치의 이개량은 크게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수직 피개가 얇은 경우에는 전방운동시의 구치 이개량은 적어진다.

이러한 피개 정 도와 악기능 장애 와의 관련에서는 구치부의 교합이 없어지는 것으로 전치부의 수 직 피개가 깊어져, 하악두가 하악와의 후방에 편위하여 발병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구치부의 교합이 확보되어 있는 일반적 증례에서는 수직 피개가(-)인 개교 증례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양자의 관련은 인정되지 않는다. 흔히 기공작업에서 꽤나 잊어버리고 작업하지만 특히 덴쳐 배열을 할때 꼭 필요한 작업이며 세라믹 작업을 할때도 이를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볼이 씹히는 일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 새롭게 보철을 하였는데 볼이 씹힌다면 치과가서도 수평피개. 수직피개를 이야기 해봄이 어떨까 생각이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