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임플란트의 cement type과 screw type의 차이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인 어버트먼트 상에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나뉘는데 전치부 싱글에 따른 예를 들어서 차이점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cement retaining과 screw retaining의 비교
임플란트의 식립 방식도 외과 주도형에서 보철 주도형으로 이행했는데 높은 심미성을 요구하는 전치부는 보철 주도형 이어야 한다. 그리고 심미적이고 영속성을 기대할 수 있으려면 그 고정 양식도 정확한 검사. 진단하에 계획적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멘 유지와 스크루 유지의 장단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cement retaining의 장점 |
cement retaining 의 단점 |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허용도가 넓다. |
유지력을 계측할 수 없다. |
기공 과정이 간단하다. |
마진 갭의 조절이 곤란하다. |
적합성이 양호하다. |
제거하지 못한 과잉 시멘트가 조직에 위해를 가한다. |
심미성이 양호하다. |
|
교합조정이 편하다. |
|
조작성이 기존의 자연치와 동일하다. |
screw retaining의 장점 |
screw retainig의 단점 |
철거가 용이하다. |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가 까다롭다. |
적합 정밀도가 좋다. |
기공 조작이 복잡하다. |
치주조직의 반응이 좋다. |
액세스 홀의 문제. |
유지력이 높다. |
세라믹이 강도를 보장하기 어렵다. |
잔류 시멘트 걱정이 없다. |
임플란트 레벨에서 탈부착 회수가 증가한다. |
1. 회복력과 유지력에 대하여 알아보자.
Screw Retaining의 최대 장점은 임플란트체와 상부구조에 상해를 가하지 않고 철거하고 싶을 때 철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규정 토 그를 주어 교합력을 조절하면 스크루가 풀리지 않는다.
Cement Retaining의 경우 접착 시멘트로 접착해 버리면 보철물에 파괴하 지않고는 철거할 수 없다.
Cement Retaining에 의한 최종 보철물과 어버트먼트의 고정 양식 에는
- ① 영구적으로 가작 시멘트를 사용
- ② 가착 시멘트로 경과를 지켜본 후 접착 시멘트로 접착
- ③ 처음부터 접착 시멘트를 사 용하는 방법이 있다.
- ①의 방법은 유지력 조절이 곤란하고 보철물이 갑자기 탈락하면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깨뜨릴 수 있다.
- 이 방법은 구치부에 사용할 수 있지만 전치부의 단관 증례에 적용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가작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어버트먼트의 장축이 길거나 적합 정밀도가 떨어지면 탈부착용 손잡이가 있어 도 실제 임상에서 철거하지 못할 수 있다. ③방법은 높은 유지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최종 보철물을 장착한 후 심미나 교합에 관련해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이 어렵다.
일본 은 국민성도 있어 주로 ②의 방법을 선택하는데 구미의 치과의사 90% 는 ③을 선택한다고 한다.
2. 적합 정밀도에 대하여 알아보자.
임플란트의 적합 정밀도가 떨어지면 임플란트 구조체 어딘가에 만 성적인 응력이 가해져 장기간 사용 시 보철물. 스크루 임플란트 자 골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복수의 임플란트를 연결하는 상부구조의 경우 Cement Retaining으로 passive fit을 달성하 려면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한데 적합을 달성하지 못하면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단 싱글 임플란트의 경우는 passive fit을 얻기 가 비교적 쉽다.
cement retaining의 경우 시멘트 공간으로 적합 정밀도를 보정하므로 passive fit을 쉽게 달성할수 있다고 오해하기 쉬운데, 시멘트의 점주도 때문에 실제로 크라운이 쉽게 들뜨고 시멘트의 퇴로를 잘 배치해도 passive fit 을 얻기가 힘들다.
3.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대책
임플란트 주위염의 예방·치료는 현재 임플란트 치료의 중요한 테마이다., Cement Retaining에 의한 잔류 시멘트의 문제는 Cernentitis라고 부를 정 도로 심각하다.
Cement Retaining의 경우 잔류 시멘트가 연조직의 염증과 골흡수를 야기한다는 지적이 있는데 Screw Retaining는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에 대해 양호한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Linkevicius는 임 플란트의 크라운 마진을 치은연하 1 mm 이상에 설정했을 때 잔 류 시멘트가 100% 존재하고 설정 위치가 깊어질수록 잔류 시멘트 가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즉 마진 라인을 치은연하에 설정한다 면 05mm로 제한해야겠는데 실제 임상에서는 치은퇴축에 의한 마진 노출을 막기 위해 그보다 깊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Agar는 치은연하 상태를 모방한 모형을 사용해 시멘트를 제거한 어버트먼트 표면을 현미경(x20)으로 관찰했는데 다량의 잔류 시멘트와 어버트먼트에 긁힌 상처가 관찰되었다고 보고했다.
또한 Wilson은 잔류 시멘트와 임플란트 주위염은 상 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 임플란트 주위염을 야기하는 Cement Retaining의 81%에서 잔류 시멘트를 볼 수 있었고 잔류 시멘트는 치석처럼 표면 거칠기가 있어 세균이 정체해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염증을 일으킨다고 추측할 수 있다.
Linkevisis는 치주병 기왕이 있는 환자가 기왕이 없는 환자보다 임 플랜트 주위염이 쉽게 발생한다고 보고했다. 잔류 시멘트가 확인된 환자 중에 치주 병력이 있는 39명은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발 병한데 대해, 치주병력이 없는 34명의 환자의 경우 3 명은 임플란 트 주위염 20명은 임플란트 주위점막염이 발병하였다.
11명은 염증 이 없었다 물론 치주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Screw Retaining이 유 리하다고 할 수 있겠는데, 치주병력이 없는 환자 중에서도 68의 환자가 치조골 또는 치주 점막에 염증이 있었고 높은 심미성을 요구하는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다.
4. 전치부에서 screw retaining이 곤란한 이유
전치부 싱글 임플란트에 국한해 정리하면 회복력, 유지력, 적합 정 밀도, 임플란트 주위염을 고려했을 때 Screw Retaining가 유리한 조건이 많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전 이 곤란 지부 임플란트에 Screw Retaining 해 Cement Retaining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Screw Retaining에는 액세스 홀의 위치라는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구치부는 액세스 홀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지만 전치 부는 반드시 설측에 배치해야 한다. 절연부의 세라믹스 두께를 고 려해도 기저 결절부가 최선이다.
그런데 임상에서는 액세스 홀이 기저결절부에 노출하도록 임플란 트를 식립하기가힘들다 왜냐하면 기저결절부에 엑세스홀이 노출하도록 임플란트를 식립 하려면 식립 위치가 제한되므 로 골 자체에 두께가 있거나 GBR로 골을 조성하는 방법 외에는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웬만한 경우가 아니고는 전치부는 시멘 타입으로 하는 게 보통이다. 다음번에는 스크루 타입의 보안하기 위한 angled type screw retaining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마우스 가드의 필요성 (0) | 2019.10.28 |
---|---|
임플란트 회복을 위한 윗몸 관리방법 (0) | 2019.10.28 |
임플란트 할때 고려해야할 질병 (0) | 2019.10.27 |
이 악물기 원인 및 치료방법 (0) | 2019.10.27 |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선정 (0) | 201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