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

이 악물기 원인 및 치료방법

잠만보의 꿈 2019. 10. 27. 22:40

Clenching 이 악물기의 원인 및 치료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악물기 (Clenching) 원인 및 치료방법을 이야기드려보겠습니다.

이 악물기의 정의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Clenching이란 하악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 상하악의 치아를 교두 감합 위로 강하게 깨무는 동작으로,「꽉 깨물기」「악물기」로 이야기할 수가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상하악의 치아를 강하게 깨무는 동작은 운동할 때 급격한 힘을 발생시키는 때와 긴급사태에 대응하여 동작할 때와 같이 전신적인 근육 긴장을 동반하는 경우 혹은 정신적 긴장 시에도 발생된다. 이것들은 일시적인 생체반응이고 생리적인 현상으로서 파악되고 있다.

한편, 그러한 상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습관적으로 늘 많이 일어나는 깨물기는 이상 기능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꽉 깨물기는 교두 감합 위 부근에서 일어나고 있으므로 centric bruxism이라고도 불린다.

이상 기능으로서의 clenching은 grinding이 야간의 수면 중에 많음에 비하여 주야를 막론하고 발현한다. 볼, 입술, 혀에 보이는 치열의 굴곡에 맞는 점막의 압박 흔적은 clenching의 존재가 의심되는 구강 내 소견이다. 그러나, 이를 가는 소리나 교모를 동반하지 않으므로 잘 발견되지 않는다.

Clenching 습관자는 grinding 습관자 보다 도 일반적으로 많다고 전해지고 있다. Clenching 습관이 있으면 지속적인 근육 활동에 의해 치주조직에 강한 압력이 장 시간 작용하므로 치주조직의 파괴가 진행된다. 치주질환 환자에서는 bruxism이 발 생하는 비율이 높고 특히 clenching이 많다는 보고가 있다.

Clenching의 지속에 의하여 저작근 근전도에 명확한 근육 피로 현상이 보이는 것 과 저작근에 더불어서 악관절부, 안와 상연에 까지 동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관찰돼 고 있다. 또, clenching에 의해 관절원판에 부착하는 외측 익돌근 상두의 활동이 항 진되고, 관절원판이 전방 전위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Clenching의 발생순서는 앞에 기술한 bruxism, grinding과 마찬가지로 명확하진 않지만, 정신적인 중추 성인자와 교합 접촉을 주로 하는 말초적인 구강 인자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고 있다

이 악물기 치료방법의 종류

  • 치료법으로는 습관을 인식하고 위해성을 자각시키는 자기 암시법, occlusal splint 치료법, biofeedback에 의한 근육의 긴장완화요법, 교합조정 등이 있다.
  • * 이를 악무는 습관은 어려운 용어라 이해하기 힘드셨을 수도 있지만 제일 큰 건 반드시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 여러 가지 안 좋은 것이 당장은 아니더라도 나이가 먹어 갈수록 그 증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다음에도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