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선정

잠만보의 꿈 2019. 10. 27. 22:27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선정에 대헤알아보자

어떤 임플란트를 선택해야 하며 그리고 임플란트를 심을 위치를 정하기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성공적인 전치부 임플란트의 식립은 예상되는 수복물의 공간과 관련하여 수복 물 지향적 임플란트 식립 여부에 좌우된다.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면, 수복물의 삼차원적인 배열은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영향을 주고, 식립 될 임플란트의 위치와 종류를 결정하게 해 준다. 그래서 임플란트 주위 영역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변화 들을 이해하여 적절한 임플란트를 선택하고 예측 가능한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최종 수복물의 심미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인접 치열과 비슷한 자연스러운 외 형 윤곽을 형성해줌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체와 수복물 그리고 임플란트 주위 조 직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적인 외형 윤곽은 선택된 임프란 트의 직경이 기존 치아의 치근과 비슷해야 이루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CEJ로부터 1,5~2.0mm 근 첨부 위로 위치한 골정에서의 치 근 크기와 해부학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자 연스러운 외형 윤곽을 만들어 주 기 위해 추천되는 임플란트 직경은 치아의 CBJ에서의 근원 심 직경에서 2.0mm를 뺀 값이 된다.

임플란트를 삼차원적(즉, 근원심 순 설측, 치축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고 려해야하는 몇 가지 생물학적 변수가 존재한다. 근원 심적 위치는 교체될 아의 치관 부위와 치경부 폭경, 인접 치근의 근접도 치 |아사이의 틈이 없는지 부에 의존한다. 치간 유두 높이를 보존하거나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플란 인접치아 사이에서 임플란트의 치경 부위로부터 1 5-2 0mm 정도의 공간이 여와 필요하며 임플란트 사이에는 3.0mm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43mm 직경의 임플란트는 인접한 두 치아로부터 최소한 7.5mm의 근원심 공간이 필 요하게 된다.

순설 측 위치는 금관의 인접면 공간과 예상되는 심미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러한 관계는 연결 방식(예를 들어, 합착형 vs 나사형)에 따라 다양하다. 교합 면으로부터 임플란트 목 부위 경계까지는 인접치아들의 절단부 경계를 연결한 선 안쪽에 위치해야 한다.

치경부로부터 임플란트 식립체의 장축이 인접 치아들 의 치경부로부터 4.0mm 내측에 위치해야 하며 목 부위 외측 경계부는 인접 치아 들의 협측 외형으로부터 2.0mm 이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만약 임플란트의 축이 수복물의 축과 나란히 위치되면 금관의 길이는 기존 치아와 같아질 것이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축과 금관의 축에 차이가 있으면, 보철적인 수 정이 필요할 것이다.

만약 임플란트의 축이 입천장 쪽에 위치되면 수직적 인골의 높이가 부족해지고 치조제 피 개형 설계로 보철물의 수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심미적으로 불만족스러운 결과가 생길 수 있다. 최상의 심미 적인 결과를 위 해 만약 입천장 쪽으로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면 보다 근첨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법칙은 임플란트가 1.0mm 입천장 쪽으로 이동될때마다 근첨방 향으로 1.0mm 깊게 위치되어야 한다. 순 측 경사, 부적절한 금관-임플란트 비율, 부적절한 교합관계를 방지하기위해서는 임플란트를 입천장쪽으로 5도 정도 기울이는 것이 추천된다. 임상적으로 순측 치조골판은 매우 좁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입천장부위 치밀골에 가까이 위치시킬수록, 순측 치밀골판의 흡수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임플란트의 너비와 위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또 다른 변수로 순 측 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이상적인 공간이 있다. 과도하 게 큰 임플란트의 너비는 피하는 것이 추천되는데 그 이유는 순측 골의 적절한 영양공급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순측 골을 유지하기 위 한 이상적인 공간은 임플란트와 발치와 사이에서 약 1.5mm 정도이다. 임플란트 목부 위경계의 근첨-치관 방향으로의 위치는 일차적으로 임플란트의 직경 및 자연치 치과 임플란트 직경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연 스러 심미성을 달성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외형 윤곽은 기존 치아의 외형 윤곽과 비해야 한다. 임플란트 주위 조직을 지지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원통형 부위는 자 연 치아에서의 치근 부위와 이어지는 부위를 자연스럽게 반영해주는 정확한 해부 인 단면을 가져야 한다. 대체될 기존 치아와 유사한 직경을 갖는 적절한 크기 임플란트는 치경부 윤곽을 수정하기 위해 근첨-치관 방향으로 위치를 변화 시 요가 없다.

그러나 둥근 임플란트와 삼각형 형태의 자연치아의 차이가 있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생물학적인 부피를 형성하기 위해 “이행 공간 (running room)"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행 공간" 이 증가하게 되면 적 절한 치경부 부 윤곽을 확보하기 위해 임플란트 shoulder가 보다 근첨방향으로 위 치되어야할 가 필요가 있다. 근첨-치관 방향으로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려사항으로 는 치경부 골의 형태, 치은연의 두께 인접면의 조직 등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상연의 이상적인 근첨-치관방향으로의 위치는 주변 치열이 또 순 측치은의 외형에 의해 결정되며 치은퇴축이 없는 인접치아의 백악법랑경계 선이나 바람직한 최종 순측 치은 연으로부터 2.0mm 근첨방향으로 위 치해야한다.

그러나 치은퇴축이 인접 치아에 존재할 경우, 임플란트는 인 접 치아의 백악 법랑 경계선으로부터 3.0mm 근첨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중 요한 것은 임플란트가 기능하기 시작한 뒤 일 년 동안 평균 약 0/9-1.6mm 정도의 주변 골 높이의 감소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플란트 식립 후 2.0mm 정도의 협측 골 두께를 유지시켜야 한다.

장기 적인 안정성과 자연스러운 연조직의 심미성, 생물학적인 균형이 임플란 트 주위 영역에서 필요하고, 주변 치아를 둘러싼 연조직과 반드시 일치해야만 한다. 이렇게 확립된 생물학적 평가로 임플란트 식립 주와 수복물, 임플란트 주의 변조직, 주변 치열 사이의 균형을 평가하여 삼차원적인 공간상에서 임플란트 적절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 *참고로 환자의 입장에서 어떤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 예전엔 초창기 시 임플란트 수술이 실패할 확률이 있고 회사마다 각각 질의 차이가 컸으나 지금은 상향 평준화되었으며.
  • 실제로 독일의 모 제품 말고는 가격도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외산 임플란트나 국산 임플란트의 경우도 이제 거의 비슷하며 정말 예후가 안 좋은 케이스에나 외국산을 쓰면 될듯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