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총의치 제작법 복제 의치를 사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입니다. 즉 기존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제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데 그중에 하나인 복제 의치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복제 의치를 사용하는 방법" 현재 사용 중인 의치에 큰 불만이 없고 장기간 사용해 익숙하고 신 의치와 병용하는 것도 염두에 두어 형태와 교합관계의 급격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의치의 복제
1) 이 방법을 선택한 이유 사용 중인 의치의 형태가 좋고 그것을 토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큰 실패는 없다. 치과기공소에 치료용 의치를 의뢰하는 방법과 비교하면 제작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인 의치를 보관할 필요가 없어 환자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지도 않는다. 주의할 점은 충분한 검사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새로 운 의치에 전달하지 않는 것이다.
2) 치료 경과 a. 새로운 의치의 제작과 자료 수집 복제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전용 flask와 알지네이트 인상재로 사용 중인 의치를 복제하고 인공 치부는 스캐닝 레진으로 제작한다. 이 것은 X 선상에 인 공지가 촬영되도록 해 교합 고경, 교합평면을 세팔로 상에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상은 전용 레진으로 제작, 지저분한 부분을 정리해 연 마한 후 구강 내에 시적 하고 변형에 의한 동통이 없는지 확인한다. 이제부터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구강 내 사 진, 세팔로 촬영, 악기능의 검사(이 번에는 CADIAX Compact [Gamma사 ]을 사용하였다. bite registration, facebow transfer, 마지막으로 pick up impression을 채득 한다.
이들 자료를 분석하고 증례의 특징을 파악한 후에 의 치를 제작하는 방침을 세운다. 복제 의치의 시적 및 pick up impression 복제 의치와 모형의 분석 b. 복제 의치와 모형의 분석 결과 먼저 교합기에 마운트 된 복제 의치와 모형을 분석한다.
- 첫 번째로 상의 외형은 상악의 경우 상후 연부가 다소 짧고 hamular notch에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순 측 상 연이 지나치게 길다고 판단하였다. 하악의 순협측 외형 은 문제가 없지만 설측 상연은 다소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두 번째로 인공치의 배열은 상악의 배열에는 문제가 없었다. 하악 인공치의 배열은 4-7부가 급경사를 이루 고(시상 조절 커브가 크다) 하악 교합평면과 상악 치조제의 관계를 보면 더 평평하게 하고 치조제와 평행하게 하 는 것이 더 안정되리라 생각하였다.
- 세 번째로 상하 치조제의 형태와 대항 관계는 상악은 전치부 치조제의 흡수가 현저하지만 의지 제작에 고민할 정도는 아니다. 구치 치조제는 편평하고 의치의 안정에 있어서 플러스 요소가 된다. 하악 치조제는 문제가 될 정 도의 흡수는 아니 지만 우측 흡수가 크고 우측이 주요 저 작 측임을 시사하였다. 상하 치조제의 대항 관계는 거의 평행하고 이것도 의치의 안정에 유리하다.
치조 정간 선도 문제를 일으킬 정도의 각도는 아니다. 세팔로 분석 C. 세팔로 분석 결과 다음은 세팔로 분석이다. 왜 총의치에 세팔로를 이용할까? 교합기에 마운트 한 모형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 이 보이기 때문이다 세팔로 상의 기준 평면, 위에서 SN(sella nasion plane), FH(frankfort plane), PP(palatal plane), OP(occlusal plane), MP(mandibular plane), 각각의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격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LFH(하안면 높이)도 교합 고경의 기준으로 적절한 지 표이다.
- 첫 번째는 골격의 문제. 상하악골의 전후적 관계(앵글 분류), 치조제가 아니라 상하 악골 자체의 관계가 하이 앵글인지 로 앵글인지(FH-MP 또는 PP-MP 각도로 판 단)는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의치의 안정에 있어서 커다 란 영향을 미친다.
- 두 번째는 아직 명확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교합고 경의 문제, 이 것도 안면 계측에 더해 LFFI를 계측하면 보 다 확실성이 높아진다.
- 세 번째는 악안면 골격 중에 교합평면이 어떻게 주행할까이다. 보다 폭넓은 범위에서 분석할 수 있다. 이상로 세팔로 분석은 교정치료만이 아니라 대규모 보철치료에 유효한 분석방법이다.
분석 결과- 골격 적으로 거의 1급이고 교합 평 면의 각도는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위치가 하악으로 치우쳐 있어 상하 균형이 떨어진다. LFH 값(48.9 : 평 균 49.0)에서 교합평면을 평균으로 볼 수 있는데 PP- MP 값(20.8 : 평균 24,6)이나 OP-MP 값(11.5 : 평균치 13.2)이 작아 교합을 거상해도 좋다고 판단하였다. d. 악기능의 분석 결과 악기능을 분석한 결과, 총의치 보철에서는 gothic arch를 사용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gothic arch는 평면 적인 2차원 검사이다.
CADIAX를 비롯해 MKG나 나소 헥사 그래프 등의 검사기를 사용하면 3차원 검사가 가능하다. 검사 결과 전진 후퇴 운동, 좌우 측방 운동에서 기능 상 문제가 있는 운동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CPM(과두 위의 검사)에서는 교두 감합 위는 후퇴 위보다 약 2mm 전방, 상방으로 약 0.8mm 위치에 있고 확실히 틀어져 있다. 이 결과를 분석하면 현재의 악위는 좌우적 문제가 없고. 전후적으로 2mm 전방위에 있지만 이 위치는 습관 성 교합 위 또는 근육 위라고 진단해 수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다만 상하적으로 과두가 상방으로 compression 된 것을 시사하였다. 이 상황을 유발한 원인을 생각해보면 악제의 흡수와 인공치의 마모, 의치를 장기간 사용한 결과 교합 지지가 지고 서서히 악관절이 압박되었다고 추측하였다. e. 분석 결과를 참고해 복제 의치를 수정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아래와 같은 방침을 세워 의치를 제작한다. *교합을 거상 한다. 다만 악관절부에서 compression 된 소견이 보이므로 절치 핀으로만 교합을 거상 하 지 말고 과두부에서도 거상 한다.
본 증례는 절치 핀으로 2mm, 과두부에서 1mm (과로 경사각을 90°로 하고 1mm의 protrusion stop을 장착한다) 거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구치부 교합평면을 편평하게 한다. 교합을 거상해 구치부에 공간이 생기므로 그것을 이용한다. *상악 상후 연부의 연장과 순 측 상연부의 축소, 하악 설측 상연부의 연장을 진행한다.
(그림 17. 다만 구토 반사가 있으므로 구개 중앙부는 사용 중인 의지와 동일하게 한다. 수정 후 복제 의치의 인상채득. 교합 채득 f. 수정 후 복제 의치의 인상채득. 교합 채득 이렇게 수정한 복제 의치로 인상채득, 교합 채득을 진행한다. 이번 인상채득에서는 턱관절부의 compression을 가 능한 한 수정하면서 진행할 생각이므로 경화시간이 짧은 화학반응형 인상재 말고 열가소성의 왝스 인상재를 사용하였다.
이 인상재의 특징은 체온으로 서서히 흐 르기 때문에 인상채득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인상 중에는 tapping을 계속하므로 기능 압을 가하면서 거기 에 호응하는 점막면의 형태를 채득 할 수 있다. 악관절부의 compression을 서서히 해방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 다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대로 그린 상 외형에 표시할 수 있다. 단점은 흐름이 낮고 상 외형을 과도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간이 걸리는 점도 단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이 까다롭고 숙달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온도관리가 중요하고 water-bath같 은기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개선할 점이 있는데 상순과 비익의 주름을 해 결하기 위해 상악 순 측 flange부에 소프트 엑스를 추가하 고 환자의 의견을 들으면서 두께를 조정한다. 이상에 주의하면서 인상을 채득 하면 bite registration, facebow transfer를 진행한다. 이후에는 모형 제작, 교 합기에 마운트하고 lab, side에 보낸다. Lab. side에 필요한 추가 정보는 우측이 주요 저작 측이므로 좌 balancing contact을 중시하라고 전달한다. g. Lab, side에서 신 의치를 제작 Lab, side는 건네받은 복제 의치의 silicone core를 채 득하고 모형에서 철거한다.
그 후 모형에 silicone core를 끼우고 연화한 파라핀 왝스를 주입해 wax denture를 제작한다. Wax denture 위에 인공 치를 배열하는데 그때에 교합평면과 악제를 평 행하게 하고 각각의 인공치가 대항하는 악제와 평행해지도록 주의한다. 배열을 하면 치은을 성형하고 완 성한다. 중합은 가능한 한 변형이 적은 정밀 중합을 하고 remount 해 오차를 수정한다. 마지막에 연 마하 고 완성한다.
wax denture 제작. 인공치 배열 중합 완성 의치 구강 내 장착 h, 구강 내 장착 Lab, side에서 완성 의치를 받아 확인한다. 문제가 없으면 구강 내에 시적 한다. 환자가 가장 걱정했던 상순, 비익의 주름을 확인한다. 만족하였다. 다음은 손가락으로 의치를 압박 해 통증이 없다면 교합지로 확인한다. 약간의 오차를 수정하고 좌우가 균등한 교합 접촉을 달성하면 당일 더 이 상 조정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상의 주의점을 설 명하고 치료를 마친다. 며칠 후에 내원하게 해 다시 한번 교합을 확인하고 내 면의 적합을 확인한다. 필요하다면 조정하고 환 자의 감상을 듣는다. 상순 비익의 주름을 확인한다 교합 조정 fit check 3) 예후의 예측 총의치 보철에 있어서 예후의 예측은 곤란하므로 신 의치에 대한 환자의 감상을 소개한다. *장착한 순간 위화감이 전혀 없었다.
*지금까지 의치는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을 때까지 적응기간이 필요했는데 이번 의치는 그렇지 않았다. *저작을 해도 전혀 피곤하지 않다. *지금까지 의치는 교합이 낮아 무의식적으로 혀를 씹 곤 하였다. 이번 의지는 전혀 그렇지 않다. ~ 등등 입에 발린 말일지 모르지만 상당히 만족 해하 것 같았다. 앞으로 이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4) Maintenance의 point 총의치의 숙명인 치조제의 흡수와 인공치의 마모를 피할 수 없다.
앞으로 이들 문제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책을 세워 가느냐가 핵심이다. 그러기 위해 중요한 것은 당연 히 정기검진이고 그때마다 반드시 사진을 촬영한다. 미 처 깨닫지 못한 부분도 그동안 찍은 사진을 배열해 비교하면 교합 고경의 저하와 악위의 변화가 한눈에 들어오기 도 한다. 앞으로 6개월 주기로 정기검진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렇게 까지 하여야지 총의치에 대한 마무리라고 할 수 있다 한번 제작하여 끝나는 것이 아닌 또 와서 교합을 확인하고 유지력을 확인하고 환자에 최대한 맞혀주어야 한다
'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위( jaw position) 란? 정의 해설 알아보자. (0) | 2019.09.28 |
---|---|
교합치료(Occlusal tretments) 알아보자. (0) | 2019.09.11 |
임플란트 시스템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19.09.10 |
CAD, CAM 이란? 치과 이용 이야기 (0) | 2019.09.10 |
치과 브릿지의 적합도 (정밀도) 알아보자.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