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

임플란트 실패하는 이유

잠만보의 꿈 2019. 11. 22. 11:25

임플란트 실패하는 이유를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그런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가 임플란트를 하게 되면 그게 얼마나 시간이 가게 될지를 잘 모릅니다. 그러면 임플란트 수명에 대한 이야기를 안할수가 없습니다. 정말 길게 봐야 10년 그리고 보통 5년 이런식으로 체크합니다. 왜 실패해서 오래 못쓰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구강 재건은 여러 단계를 거쳐야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철저한 진단 후의 매식 수술 및 치유가 정, 보철 상부구조 제작을 위한 보철 과정, 최종 보철물의 장착 후에 이루어지는 정기적인 검사 등이다. 그중 보철물 장착 후 유지기간 동안에 여러 가지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부작용으로는 고정 체 파절, 고정나사의 풀림과 파절, 지대주 파절, 보철물 파절이 있다. 고정 체의 파절 은 대부분 교합력이 크게 작용하는 구치부에서 빈번하며 보철 적 원인 뿐 아니라 재료 자체의 약한 물성이나 고정 체 수의 부 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정나사의 풀림과 파절은 임플란트 증례의 6-7%의 비율로 발생하는 가장 빈번한 보철 후 부작용 중 하나이며 지속될 경우 보철물, 지대주, 임플 란트의 파절의에 이르는 연속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보철 후 부 작용의 일반적인 원인을 알아보자.

  • 1) 부속품들의 부적 합성
  • 2) 교합조절 실패로 인한 overload
  • 3) 접촉부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

4) 이갈이, 이 악물기 등의 악습관들이 지적되고 있다. 일반 적으로 정상적인 방법과 원칙에 입각해서 시술이 이루어진 경 우 보철물의 부작용은 교합력이나 좋지 않은 악습관에 의한 기 계적인 문제만-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절이나 교합면 수복 물질의 마모 등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적으로 임플란트 보철의 부작용 즉 이상증례가 발생환 환자의 약 350명의 대상으로 확인하였고 보철 후 가장 큰 부류는 고정 나서 풀림과 파절, 픽스쳐의 동요와 파절, 또한 지대주 파절의 3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상 부작용이 일어난 시기, 부위, 나 보철적 구조 및 연결 형태 등등을 분석하고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조건을 규명하고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연구또한 시간이 되었고 현 2018년에는 이러한 이상 증례의 부작용이나 실패 등이 현저히 낮아졌음을 알려드리고 앞으로도 더 연구하여 거의 99프로 확실한 보철과 임플란트의 성공을 위해 더 나아갈 것을 노력하고 있고 저 또한 노력하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