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과

임플란트 이후 윗몸 관리

잠만보의 꿈 2019. 12. 5. 22:55

임플란트 이후 윗몸 관리 및 implant 주위의 연조직 설명

오늘은 임플란트의 수술에서 정말 중요한 연조직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의사들의 최대한 관건은 연조직 컨트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기본적인 내용에 대하여 서술해보고자 한다.

Implant 주위의 연조직 의 사진을 간단하게 보고 시작해보자.



연조직은 치은 결합조직과 치은 상피로 구성되는데, 치아 및 Implant는 이 연조직을 관통하며 구강 내에 존재한다. 이 치은 결합조직과 치은 상피는 모두 직하방의 조직에 대한 봉쇄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치아 및 implant를 둘러싼 치은 조직은 외계로부터의 침습에 대한 barrier로서 기능한다.

자연 치열과 마찬가지로 implant가 점막을 관통하는 부분은 확실한 점막 조직이 모양으로 둘러싼다. 이 점막 조직은 비 각화 치은 구 상피, 접합 상피 및 접합 상피 근추 측의 치조골 정 사이에 존재하는 결합조직으로 구성된다.

1. 상피 조직

Implant 주위의 상피 조직은 자연치 주위의 상피 조직과 유사하며 구강 상피의 중 편평 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가 비 각화 치은 구 상피와 연속되어 있다. 치은구 상피의 겪측에 존재하는 접합 상피는 기저판과 hemidesmo some에 의 implant 표면에 부착하고 있다.

Implant 표면에 대한 이러한 상피 부착은 자연 치열 서도 역시 볼 수 있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는 이 상피 부착이 근 방향으로 이동하는 징후를 볼 수 없다 그렇지만 implant를 둘러싸는 접합 상피의 경 한 폭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해명되지 않았다 Implant 매입 술식으로는 1회 법(non-submerged)이나 2회 법(submerged)을 적용할 수 있는데, 2회 법에서는 fixture와 abutment 사이에 경미한 공간이 존재하므로 접합 상 피의 가장 근첨측 부위의 위치가 다르다. 즉 2회 법에서는 1회법보다 접합 상피가 근첨 측 가까이의 치조골 정에 근접하고 있으며 fixture와 abutment 공간 밑에 위치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1회 법에서 볼 수 있는 접합 상피의 최 근첨측 부위의 위치 및 Implant에 대한 상피 와 치조골정의 전체 적인 해부학적 관계가 2회 법보다도 자연 치열과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 두 가지 술식에서 볼 수 있는 이런 차이의 해부학적, 임상적인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이와 같이 implant 주위의 상피 세포 성숙 및 Titanium 표면에 대한 봉쇄 기구가 자 연 치열에 필적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밝혀졌다. 접합 상피의 근첨측 위치가 1회 법과 2회 법에서 다르다는 점은 지적되고 있지만 이 차이는 경미한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 결합 조직

접합 상피의 가장 근첨측 부위와 치조골 정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결합 조직은 자연 치열과 다른 상태를 보인다. 많은 경우 결합 조직 섬유가 implant 표면과 평행하게 주행하며, implant 표면에는 시멘트질이 없으므로 치은 섬유의 부착도 볼 수 없다.

1회 법 술식에 대한 최근의 지견에 따르면 titanium 표면에 대한 결합 조직의 접촉은 자연치와 완전히 다르다고 보고되어 있다. 즉 implant에 대해 직각으로 삽입되는 섬유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implant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결합 조직은 염증을 동 반하지 않은 반흔(scar) 조직과 유사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collagen 섬유가 삽입되어 있다. Implant와 인접하는 조직을 둘러싸는 외측의 결합 조직은 정상이며 collagen 섬 유가 일정한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어 자연치와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

Collagen 섬유의 주행 방향은 implant 표면의 거칠기와 implant 주위의 점막 상태 등의 영향을 받는다 표면이 거친 경우에는 collagen 섬유가 직각 또는 평행하게 주행한다.

Implant 주위에 각화 치은이 있을 때에는 그 밑의 결합 조직에서 implant 표면에 대 해 직각으로 섬유가 주행하지만, implant 주위가 점막인 경우에는 그 밑의 결합 조직에 서 implant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섬유가 주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Implant와 접촉하는 결합 조직과 자연 치열의 결합 조직 사이의 조직학적인 차이는 학문적인 연구 대상이고 기능적인 차이에 대해서는 아직 해명되지 않았다. 양자의 차이 중 임상적인 의미가 있는 것 중 하나는 probe의 삽입 심도 차이이다. 임상적으로 건강 한 자연 치열과 implant에 대한 probe의 삽입 심도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자연치의 치은 01 implant의 치은보다 probe에 대한 저항이 훨씬 높았다고 보고되어있다.

시멘트질에 대해 collagen 섬유가 직각으로 침입하고 있을 때 probe에 대한 저항이 생기는데, implant에서는 이렇게 직각으로 침입하는 섬유가 없으므로 치은 구에서의 probe 삽입이 쉬어진다고 생각된다. implant와 치아에 대한 결합 조직 조성과 부착 차 이 때문에 생기는 이런 차이는 염증이 발생한 조직의 거동 차이로 나타난다. 그리고 여 기에서는 fixture의 결합 조직 부착(attachment)이 아니라 접촉(contact)이라는 용어 가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implant 표면에 대한 결합 조직의 합체 (union)는 상피세포가 implant 표면에 진정한 의미에서 부착되어 있는 접합 상피와 다 르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론

염증을 동반하지 않은 연조직의 상피세포 및 결합 조직은 치아와 implant에서 동일하 다 즉 모두 구강 상피, 치은구 상피, 접합 상피,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치 및 implant에 대한 부착이라는 의미에서는 접합 상피와 결합 조직에 차이가 있다. implant에 대한 접합 상피 부착은 자연치와 유사하지만 implant의 종류에 따라 부착 부위가 다르다. 반면 결합 조직은 조성은 유사하지만 입체적인 주행은 자연치와 implant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치은 섬유는 implant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자연치에 대해서는 직각으로 주행한다. 결합조직의 주행은 implant 표면의 거칠기 및 표면을 덮는 점막 종류에 따 라서도 영향을 받으며 implant에 인접하는 혈류의 방향도 다르다 implant 주위 연조직의 조직학적, 해부학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연구와 관찰이 필요하다.

의사들의 임플란트 세미나의 대부분도 결국은 임플란트의 윗몸 주위 조직이 꺼지지 않도록 그리고 잘 치아와 부착이 될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배운다. 작은 거지만 기본적인 글 하나 봐주신 거 너무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