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 마우스가드 필요성을 설명드리겠습니다. (mouthguard)] 이번 포스팅은 마우스피스(마우스가드)가 운동하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학술제의 발표한 내용을 보강하여 글을 서술 하도록 하겠습니다. 2000년에 실시한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치아 외상 경험률은 13%를 넘는 다고 하며 전체 구강 악안면 영역의 외상의 원인 중 20-40%는 운동 도중 발생한다고 한다. 이렇게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스포츠 인구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 외상의 예방은 중요하다. 특히 구강 악안면 영역의 외상은 자기수복능력이 없는 치아와 그 주위 조직의 손상이나 상실을 가져오며 그 결과 기능 저하와 심미적 문제를 초래하므로 외상 예방의 중요성은..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연조직 관리 즉 쉽게 말하면 임플란트 회복을 위한 윗몸 관리 방법입니다. 구치부 임플란트와 연조직 이해하고 방법을 알아보자.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 치료가 보편화됨에 따라 기능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심미 적인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는 임플 란트 보철물 자체의 심미뿐만 아니라 주위 조직 과의 조화 또한 필수적이다. 임플란트 수복의 최종 목표는 완벽한 보철물이 주변 자연 치열과 조화로운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Saadoun(1999)은 임플란트 수복에 앞서 미소의 종류, 치주조직의 biotype, 상실부 치조제의 골 정밀 사진, 예상되는 수복물의 유형, 위치, 형태, 치조제 증대를 포함한 수술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Jovanovic(1997)은 심미 적..

임플란트의 cement type과 screw type의 차이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인 어버트먼트 상에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나뉘는데 전치부 싱글에 따른 예를 들어서 차이점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cement retaining과 screw retaining의 비교 임플란트의 식립 방식도 외과 주도형에서 보철 주도형으로 이행했는데 높은 심미성을 요구하는 전치부는 보철 주도형 이어야 한다. 그리고 심미적이고 영속성을 기대할 수 있으려면 그 고정 양식도 정확한 검사. 진단하에 계획적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멘 유지와 스크루 유지의 장단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cement retaining의 장점 cement retaining 의 단점 임플란트 식립 위치의 허용도가..

임플란트 시 고려해야 할 질병 오늘은 임플란트 하기전 알아야 될 부분 중 환자에게 있어서 더 필요한 부분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함께 봐주시고 만약 글이 길다면 큰 목차만 쭉 봐주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임플란트 할 때 고려해야 할 질병 1) 당뇨병과 Implant 당뇨병은 옛날부터 소변에 당이 배설되는 병이라고 알려져 왔다 소변에 배설되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요당(+)은 이미 고혈당을 의미한다. 고혈당은 고 삼투압성 이뇨와 포도당의 대사 장해를 보상하기 위해 지질 등의 대 사에서 유래하는 ketoacidosis를 일이다. 또한 고혈당의 특징은 백혈구의 주행 능력에 장해를 주어 감염을 일으키기 쉽다는 것이다. 게다가 관상동맥 등의 동맥경화에 의한 병변, 당뇨병성 망막증과 같은 미세 혈..

Clenching 이 악물기의 원인 및 치료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악물기 (Clenching) 원인 및 치료방법을 이야기드려보겠습니다. 이 악물기의 정의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Clenching이란 하악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 상하악의 치아를 교두 감합 위로 강하게 깨무는 동작으로,「꽉 깨물기」「악물기」로 이야기할 수가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상하악의 치아를 강하게 깨무는 동작은 운동할 때 급격한 힘을 발생시키는 때와 긴급사태에 대응하여 동작할 때와 같이 전신적인 근육 긴장을 동반하는 경우 혹은 정신적 긴장 시에도 발생된다. 이것들은 일시적인 생체반응이고 생리적인 현상으로서 파악되고 있다. 한편, 그러한 상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습관적으로 늘 많이 일어나는 깨물기는 이상 기능의 하나로..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선정에 대헤알아보자 어떤 임플란트를 선택해야 하며 그리고 임플란트를 심을 위치를 정하기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임플란트의 선택과 위치 성공적인 전치부 임플란트의 식립은 예상되는 수복물의 공간과 관련하여 수복 물 지향적 임플란트 식립 여부에 좌우된다. 이러한 개념을 적용하면, 수복물의 삼차원적인 배열은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영향을 주고, 식립 될 임플란트의 위치와 종류를 결정하게 해 준다. 그래서 임플란트 주위 영역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변화 들을 이해하여 적절한 임플란트를 선택하고 예측 가능한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최종 수복물의 심미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인접 치열과 비슷한 자연스러운 외 형 윤곽을 형성해줌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체와 수복물 그리고 임플란..

치주 성형 수술( periodontal plastic surgery) 치주 성형에 관련된 이론을 같이 나누고자 합니다 어렵지만 가볍게 한번 봐주시길 바랍니다 전치부의 심미적인 수복을 위해서는 종종 부적 절한 치아의 비율이나 공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조화로운 치아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서 치 은 구조의 변형을 동반한 수술적인 기술이 중요하다. 치아와 안면의 기형에 대 한 치료가 많아짐에 따라 연조직과 경조직 반응에 대한 생물학적인 원칙의 연구 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원칙을 이해함에 따라 생물학적 그리고 심미 적은 로 뛰어난 결과를 보이는 치아와 치주 조직을 이룩할 수 있다. 치주의 성형 수술과 보존적인 치료를 병행한다면 생물학적으로 안정된 치아-치은 조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치..

치과용 사진 촬영기법을 알아보자치 과용 사진 촬영 기법 소개 (dental photography)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사진 시스템은 재래식 필름 기반 단렌즈 리플렉스형 카메라(35mm SLR) 시스템의 기능과 작동에 대해 알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재래식인 35mm 카메라 시스템은 화학반응을 통해 필름을 활성화시키는데 빛을 이용하 여 이미지를 만든다. 필름의 유화액 안 빛에 민감한 분자들은 필름에 닿는 빛의 양에 비례하여 전하를 띠게 된다. 이후 필름을 현상하는 과정에서 전하를 띤 분자들은 각각 성장하여 필름상의 기본적인 시각 단위인 그레인을 형성하고, 그레인들이 모여 사진의 상을 완성하게 된다. 디지털 35mm 카메라 시스템은 전기적 반응을 통해 고체 센서를 활성화시키 는데 빛을 이용한다 전하 결합..

마무리와 연마. 그리고 심미수복재료 (finishing and polishing esthetic restirative materials) 아말감, 금과 같은 과거 수복재료들은 수복재료의 부드러운 표면을 증진시 키는 동시에 해부학적 형태와 외형, 변 연의 완전성, 교합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무의 리와 연마 과정이 필요하다 오늘날 치아색을 내는 수복재료의 마무리와 연마 목적은 역시 같으나, 이러한 수복재료의 발전은 수복학에 있어 심미 수복이라는 새로운 요소를 등장시켰다. 심미수복 치과학의 목적은 웃거나 발음 시 해서 과。 말감 같은 금속의 노출을 줄이는 동시에, 기능을 유지하고 치아의 구조적 성을 갖춘 아름답고 실제 치아처럼 자연스러운 수복물 은 만드는 데 있다. 적절히 마무리된 심미접착수복물은 치태 침착을 ..

■지르코니아의 특징과 물성 지르코니아(ZrO2는 지르코늄(Zr)의 산화된 형태로, 자연에서 발견된 금속이다. 이것의 높은 기계적 물성은 다른 전통적인 치과 세라믹 물질들과 비교되며 치과용 생체물질로 사용 증가를 유발하였다. 지르코니아는 다형성의 물질로 온도나 압력 상태에 의존하여, 한 가지 물질 상 혹은 결정 구조에 비해 더욱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의 세가지 다형성 결정 구조는 특이한 구조적 배열과 직경적인 파라미터 들에 의해 특징적인 것이 되었다. 입방계, 정방 정계, 단사 정계, 지르 코니아의 결정 구조는 6.0g/ar'의 보통의 밀도를 가지며, 지르코늄 옥사이드의 이론적인 밀도 (예, 100%는 6,51g/㎝이다 이러한 두 밀도에 더 근접한 값은 입자 사이의 더 적은 공간을 갖는 데, 더욱 강..